노후산단 입주기업 "재정비 필요"
경기도 전체 산업단지 중 1980년대 이전 착공한 노후산단이 차지하는 면적은 45.8%, 종사자 수는 73.1%로 나타난 가운데, 노후산단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방안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신기동 연구위원은 <노후산업단지 활력 제고 방안> 보고서에서 도로파손, 주차난, 휴식 및 상업시설 부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노후산단 재생 방안을 제시했다.
산업단지 개발역사가 50년에 이르면서 20살 넘은 노후산업단지가 급증하고 있다. 2012년 기준 전국 노후산업단지 면적은 372km2로 전체의 51.6%, 종사자수는 125만 1천명으로 72%를 차지했다. 경기도의 경우 111개 산업단지 중 노후산단 면적은 40.7km2로 전체의 45.8%, 종사자수는 31만 6,555명으로 73.1%를 차지했다.
경기도내 노후산업단지 입주기업 설문조사 결과 노후산단의 문제점은 주차난(44.5%), 커피숍․은행 등 편의시설 미흡(36.8%), 인력수급의 어려움(35.4%), 건물 노후화(28.2%), 진입도로 정체(28.2%) 순으로 나타났다. 재정비사업 필요성에 대해서는 43.5%가 필요하다고 답한 가운데, 재정비 사업을 실시할 경우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49.8%가 노후공장 또는 기반시설의 부분적 정비․확충, 43.5%가 공장이외의 기반시설 위주의 정비․확충, 5.3%가 전면 철거 및 재개발을 꼽았다.
노후산단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우선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단지 개발·관리 규제완화가 필요하다. 특히 산업단지내 IT·서비스업과의 융복합을 촉진하도록 해야 한다.
노후산단 특성에 맞춘 차별화 전략도 요구된다. 도심인접성, 산업구성 등을 고려해 기능전환형, 환경개선형, 절충형으로 추진하자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심인근의 산업단지(서울디지털단지, 성남산업단지)는 산업단지 지정을 해제하고 도시계획(공업지역)으로 관리하며 비즈니스 지구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산업단지는 급진적 방식의 재정비가 어려우므로 기반시설 개선을 지원하고 지자체 및 입주업체가 주도하는 산업단지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관련 법령·제도를 통폐합해 가칭 '노후산업단지 활력제고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안도 있다. 또한 사업추진은 민간주도로 하되 정부는 산업비전 설정, 법령․계획 정비, 기반시설 관리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
신기동 연구위원은 "경기도에서 준공된 지 20년 이상의 모든 일반산업단지에 대해 지정권자인 경기도 주관으로 산입법에 근거한 재생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아울러 "현재 재정비가 필요한 노후산단은 정부의 리모델링 추진 방향에 따라 산업정책 및 도시계획 관련부서간 협업체제를 구축해 실행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산업일보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족 공장용지 해소, 수출전진기지 산업단지 조성 박차 (0) | 2013.12.10 |
---|---|
투자자•임차인 모두 웃는 ‘핫플레이스’ 상가 (0) | 2013.12.09 |
국토교통부 전국 산업단지 미분양율 4.1%로 낮아 (0) | 2013.12.03 |
기업도시 개발사업 투자유치 ‘탄력’ (0) | 2013.12.03 |
서울시, 대우조선해양과 마곡산업단지 입주계약 체결 (0) | 2013.11.28 |